잠시만 기다려 주세요.

강좌

반응형
    오토캐드 기초 강좌 - 치수 스타일 재지정 활용 방법

    오토캐드 기초 강좌 - 치수 스타일 재지정 활용 방법

    오토캐드 치수기입에 따른, 치수 스타일 변경 방법이지만, 세부적이고 디테일한 도면 치수의 모양을 변경하는 중요한 내용이다. 오토캐드, ZW캐드, 지스타캐드, 캐디안 등 2차원 캐드 프로그램에서는 기본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소프트웨어를 구분할 필요는 없다. 2022년도 마지막으로 진행하는 글 강좌인 것 같다. 이번 포스팅은 지난 21년 10월에 포스팅한 "치수 스타일 초기 옵션 설정 변경"에 대한 연장선이라고 볼 수 있는 내용으로, 초기에 치수 기입 후, 중간중간 변경되는 치수 스타일을 보완하기 위한 옵션이라고 볼 수 있다. [AutoCAD]오토캐드 기초 강좌 - 치수 스타일 옵션 변경 방법 (초기 설정 방법) 천만년만에 오토캐드에 대한 강좌를 한번 해본다. 오토캐드. 즉, 2D 캐드에서 ..

    오토캐드 3D를 2D도면으로 만들기 - FLATSHOT(플랫샷)

    오토캐드 3D를 2D도면으로 만들기 - FLATSHOT(플랫샷)

    오토캐드에서 3D를 2D 도면으로 내리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우선, 오토캐드에서 3D를 2D 도면으로 내려야 하는 이유가 있는가부터 생각해봐야 할 부분이다. 캐드에서 직접적으로 도면을 그리면 되는 것이지, 왜? 3D로 된 것을 도면으로 내려야 하는 것인가? 일반적으로, 전문 3D 캐드(카티아, 솔리드웍스, 인벤터 등 파라메트릭 모델링 캐드)에서는 부품 모델링 후, 도면은 정말 손쉽게 작성할 수 있는 기능을 기본적으로 갖추고 있다. 거의 대부분 설계/제조 회사들은 이러한 3D 캐드들을 아주 오래전부터 대부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상위에서 하위로 내려오는 벤더들의 입장에서는 원청이나 상위 벤더들만큼 3D 캐드나 3D 모델링 형상보다는 오토캐드와 같이 2D 캐드의 도면 작성 및 편집에 대한 활용 빈도..

    인벌류트 곡선 표준 기어 제도 및 모델링 방법

    인벌류트 곡선 표준 기어 제도 및 모델링 방법

    이번 표준 기어 제도(솔리드웍스 스케치) 및 스퍼 기어(평기어) 모델링에 사용되는 공식은, 기본적으로 기어 설계(?)를 기본으로 하는 내용으로 작성했으며, 100% 인벌류트 곡선을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약식으로 인벌류트에 근접한 방법으로 스케치하는 간단한 방법을 소개한다. 표준 기어란, 인벌류트 기어로 이 두께가 원주 피치의 1/2이 되는 기어로 피치원과 피치원이 접하는 기어를 말하는 것으로, 전위하지 않는 기어를 말하며, 단순 기어열에 주로 사용한다. 동력 전달에 사용되는 기어의 치형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되고 있다. 하나는 사이클로이드 곡선으로 이루어진 기어와 인벌류트 곡선으로 이루어진 기어로 나눠져 있다. 사이클로이드 기어는 이끝면과 이뿌리면의 치형 곡선이 각각 나눠져 있으며, 보통 정밀 측정기,..

    솔리드웍스 RealView Graphitcs 디스플레이 활성화 방법

    솔리드웍스 RealView Graphitcs 디스플레이 활성화 방법

    솔리드웍스 활용 강좌, 솔리드웍스 리얼뷰(RealView) 그래픽 디스플레이 활성화, 레지스트리 수정, 저사양 컴퓨터에서도 화려한 모델링 그래픽 구현 방법, RealView Graphics 인벤터에서 솔리드웍스로 작업 환경을 바꾸고 나서, 제일 아쉬웠던 부분이 인벤터에서는 "사실적"이라는 디스플레이 모드를 기본적으로 제공하고 있어, 환경 맵과 모델링 객체에 부여한 재질(질감)에 의해서 실시간 렌더링(?) 효과를 만들어주는 기능이 있다. 하지만, 솔리드웍스는 이러한 기능은 존재하고 있지만, 대부분 저사양 컴퓨터를 가지고 사용하는 분들은 그 효과를 지금까지는 누르지 못하고 있는 분들이 많을 것이다. 솔리드웍스의 RealView Graphic 디스플레이 모드는 워크스테이션 급 그래픽카드, 즉 솔리드웍스가 밴치..

    [솔리드웍스 기초] 지정된 각도(방향 벡터)로 돌출하기 feat.스윕과 비교

    [솔리드웍스 기초] 지정된 각도(방향 벡터)로 돌출하기 feat.스윕과 비교

    돌출(Extrude)이라는 기능은 현존하는 모든 3D 모델링 소프트웨어에 기본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기능이다. 이 블로그에서 주로 소개하는 솔리드웍스나 인벤터 같은 3D 캐드뿐만 아니라, 맥스나 마야와 같은 그래픽 툴, 심지어 일러스트레이션 같은 2D 그래픽 소프트웨어에서도 제공하고 있는 기능이다. 얼마 전에 얇은 피쳐 사용하는 포스팅에서 돌출은 "3D 모델링의 시작이자 끝이다"라고 했던 글과 같이 정말 돌출을 이해하지 못하면, 3D 전체의 기능을 이해 못하는 것과 같다고 볼 수 있고, 돌출만 잘 사용해도 만들지 못할 것은 없을 정도로 다 방면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기능이다. 돌출은 기본적으로 단면에 직각(평면 기준 높이로 90도 방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방향이 정해져 있다. 이러한 직각하는 돌출은 그 ..

    솔리드웍스 모델링 무작정 따라하기 08 - 돌출 얇은 피쳐 모델링 (feat. 열린 스케치 작성)

    솔리드웍스 모델링 무작정 따라하기 08 - 돌출 얇은 피쳐 모델링 (feat. 열린 스케치 작성)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3D 캐드의 기본적인 작업 순서는 제일 먼저 중요한, 스케치를 작성한 후, 작성 피쳐를 이용해서 형상을 만들고, 편집 피쳐를 이용해서 형상을 다듬는 형식으로 작업한다. 이것은 솔리드웍스뿐만 아니라, 현재 사용하고 있는 거의 모든 3D 캐드의 기본 공통 작업 사항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돌출은 3D모델링의 시작이자 끝이다. 그중에서 스케치는 모델링 작업에 있어서 제일 먼저 사용되고, 형상을 작성하기 위해서 무조건 사용해야 하는 부분이다. 그런데, 이렇게 중요한 스케치를 어떻게 하느냐는 순전히 작업자의 스타일에 따라 천차만별이고, 작업의 형태에 따라서도 많이 달라진다. 형상에 필요한 거의 모든 요소를 첫 스케치에 배치하고, 피쳐를 생성하는 사람도 있고, 형상에 따라 그때그때, 필요한 위치에..

    [솔리드웍스 모델링 따라하기] RC카 전륜 서스펜션 - 힌지 핀(Hinge Pin) 및 클립(Clip) 모델링

    [솔리드웍스 모델링 따라하기] RC카 전륜 서스펜션 - 힌지 핀(Hinge Pin) 및 클립(Clip) 모델링

    RC카 전륜 서스펜션 (Front Suspension) - 어퍼/로우 암 힌지 핀(Upper/Lower arm hinge pin) 및 어퍼 암 정렬 클립(Upper Adjustment Clip) 모델링 따라 하기 솔리드웍스 모델링 따라 하기, RC카 전륜 서스펜션 부품, 모델링부터 조립까지 전 과정 공개 이번 모델링은 지금까지 작업한 것 중, 어떻게 보면 가장 단순하고 간단한 모델링으로, 좌/우 측판 및 어퍼 암 마운트와 5장과 6장에서 모델링한 어퍼 암과 로우 암을 연결하는 힌지 핀과 어퍼 암의 위치를 정렬하는 정열 핀을 간단하게 모델링하는 방법이다. 즉, 이번에 모델링 되는 핀을 모델링함으로써, 1장부터 6장까지 모델링한 부품을 부분 조립품으로 조립할 수 있다. [솔리드웍스 모델링]RC카 전륜 서스펜..

    솔리드웍스 모델링 무작정 따라하기 06-회전패턴

    솔리드웍스 모델링 무작정 따라하기 06-회전패턴

    이번 솔리드웍스 무작정 따라 하기 동영상 강좌의 내용은 솔리드웍스에서 제공하는 패턴(Array, 배열 복사) 중에서 다양한 분야에 많이 사용되는 원형 패턴에 대해 기본적인 사용방법에 대해서 알아본다. 원형 패턴은 이미 작성된 피쳐를 선택한 동심으로 원형으로 배열 복사하는 기능으로, 원형 객체에 포함하고 있는 구멍이나, 보스 같은 형태를 동일한 등각도로 제시한 개수많큼 동일 피쳐를 생성하는 것이다. 회전 패턴은 주로, 형상에 작성되는 구멍과 같이 다중으로 생성되어야 하는 요소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원통 형상뿐만 아니라, 기하 형상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는 편집 피쳐 기능이다. 다만, 원통 형상은 원형 패턴의 기준이 되는 동심(중심축)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중심을 원통면이나, 원을 선택해서 사용할 수 ..

    ZW3D 스케치 작성 및 구속조건 부여 간단히 알아보기

    ZW3D 스케치 작성 및 구속조건 부여 간단히 알아보기

    또 오랫만에 기술강좌 포스팅을 하는 것 같다.ㅠㅠ 뭐가 그리 바쁜지..ㅠㅠ 나이가 먹으면 먹을 수록 이상하게 조금만 바빠도 마음의 여유가 없어지는 것이 참 곤욕스럽다. 다른 사람들은 연륜이 쌓일 수록 여유가 생기는데 나는 반대가 되는 것 같다.ㅎㅎ 앞에 두 번의 ZW3D에 대한 소개와 설치 방법에, 이어 이번 강좌는 ZW3D를 통해 모델링 하기 위해서 무조건 거쳐야 하는 스케치에 대해서 대략적으로 알아보자. ZW3D의 스케치는 다른 3D캐드와 동일하게 파라메트릭 모델링 방식을 체택 하고 있어, 솔리드웍스나 인벤터, 카티아, UG-nx 등과 같이 모델을 위해서는 스케치가 우선으로 필요하다. 다른 3D캐드를 조금이라도 사용할 줄 아시는 분이 사용한다면 큰 문제가 없겠지만, 처음 입문하시는 분들은 어떻게 접근..

    [솔리드웍스 모델링 따라하기] 로프트(Loft) 곡면 모델링 - 동영상 강좌

    [솔리드웍스 모델링 따라하기] 로프트(Loft) 곡면 모델링 - 동영상 강좌

    로프트 곡면 모델링 따라 하기, 제품 디자인, 산업 디자인에서 많이 활용하는 곡면 작성 방법에 대해서 동영상으로 간단하게 알아보자. 로프트(Loft)는 무궁무진한 응용 방법을 가지고 있고, 거의 모든 3D툴에 기본적으로 기능을 제공하고 있고, 다양한 옵션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조금 많은 시간을 투자하여 공부해야 할 분야이다. 이 서관덕의 시간이 머문 작은 공간™ 블로그에서 로프트(Loft)를 제대로(?) 강좌로 포스팅한 경우가 없는 것 같다. ㅎㅎ 있다고 하더라도, 단순한 두개의 단면으로 작성된 로프트가 전부 일 것이다. 로프트(Loft)의 기능은 거의 모든 3D캐드에서 동일하다. 로프트 기능은 현존하는 거의 모든 3D 캐드에서 대부분 지원하고 있으며, 기본적인 사용 방법과 적용 방법도 거의 비슷하다.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