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 독학/파이썬 기초

[파이썬 코딩 기초]-파이썬 복합 대입 연산자는 또 뭐고? #009강

캐드와 코딩-https://esajin.kr 2024. 9. 30. 22:30
  • 변수에 대입된 기존의 값을 업데이트하거나 변형하는 대입 연산자에 대해서 공부
  • 앞에서 배웠던 산술 연산자와 비슷하게 하지만, 조금 더 깔끔한 코딩을 할 수 있다.

 

복합 대입 연산자(compound assignment operator)는 기존에 등록된 변수의 값을 업데이트하거나 변형하는 데 사용되는 연산자이다.

쉽게, 이미 사용 중인 변수를 사용하여, 기존의 값을 산술 연산자로 변경할 때 사용하고자 할 때 많이 사용하며, 앞으로 배울 for()문 또는 while()문 등, 반복문에 주로 많이 사용된다.

복합 대입 연산자는 기본 대입 연산자인 =과 앞장에서 배웠던 산술 연산자를 결합하여 코드를 간결하게 작성할 수 있도록 해준다.


 

복합 대입 연산자의 종류

연산자 기호 연산 종류
+= 기존 값에서 값을 더하여 다시 변수에 저장
-= 기존 값에서 뺀 값을 다시 변수에 저장
*= 기존 값에서 곱한 값을 다시 변수에 저장
/= 기존 값에서 나눈 값을 다시 변수에 저장
//= 기존 값을 나눈 후, 소수점을 버린 몫을 다시 변수에 저장(정수 자료형)
%= 기존 값을 나눈 후, 나머지 값을 다시 변수에 저장
**= 기존 값을 제곱하여 다시 변수에 저장

위와 같이 우리는 이미 앞에서 배웠던, 기본 대입 연산자인 =에 산술 연산자인 +, -, *, /, //, %, **를 합쳐서 사용하는 것을 복합 대입 연산자라고 한다.

산술 연산자 말고도, 비트 연산자(&, |, ^, <<, >>)등도 복합 대입 연산자로 사용할 수 있지만, 비트 연산자에 대한 설명은 나중으로 미뤄둔다.

 

각 연산자의 활용 방법

복합 대입 연산자는 연산 결과를 새로운 변수에 대입하는 것이라, 기존 변수를 다시 연산하여 할당하는 형식임으로, 연산하는 코드가 짧고, 간결해지며, 동일한 변수를 재 사용함으로 성능면에서 아주 약간은 유리하다고 볼 수 있다.

 

+= 더하기 후 재 할당

var1 = 10
var1 += 5  # += 복합 대입 연산자
print(var1)  # 결과 : 15

var1 += 5var1 = var1 + 5와 동일한 코드이며, 기존 값에 5를 더한 결과를 다시 var1에 할당하는 것이다.

 

-= 빼기 후 재 할당

var2 = 10
var2 -= 5  # -= 복합 대입 연산자
print(var2)  # 결과 : 5

var2 -= 5var2 = var1 - 5와 같고, 기존 값에 5를 뺀 결과를 다시 var2에 할당하는 것이다.

 

*= 곱한 후 재 할당

var3 = 10
var3 *= 5  # *= 복합 대입 연산자
print(var3)  # 결과 : 50

var3 *= 5var3 = var3 * 5와 같으며, 기존 값에 5를 곱한 결과를 다시 var3에 할당하는 것이다.

 

/= 나눈 후 재 할당

var4 = 10
var4 /= 5  # /= 복합 대입 연산자
print(var4)  # 결과 : 2

var4 /= 5var4 = var4 / 5와 동일하며, 기존 값에 5를 나눈 결과를 다시 var5에 할당하는데, 이때 결과는 실수 자료형으로 적용된다.

 

//= 나눈 몫을 정수로 재 할당

var5 = 10
var5 //= 3  # //= 복합 대입 연산자
print(var5)  # 결과 : 3

var5 //= 3var5 = var5 // 3와 동일하며, 나눗셈한 결과의 정수 부분만 다시 var5에 할당하는 것이다.

 

%= 나눈 나머지를 재 할당

var6 = 10
var6 %= 3  # %= 복합 대입 연산자
print(var6)  # 결과 : 1

var6 %= 3var6 = var6 % 5와 동일한 코드이며, 기존 값을 3으로 나눈 후, 나머지 결과를 다시 var6에 할당하는 것이다.

 

**= 제곱 후 재 할당

var7 = 2
var7 **= 8  # **= 복합 대입 연산자
print(var7)  # 결과 : 256

var7 **= 8var7 = var7 ** 8과 같으며, 기존 값을 8로 제곱한 결과를 다시 var8에 할당하는 것이다.

 

 

복합 대입 연산자의 장점

위의 예시를 통해 알아보았듯이 var1 = var1 + 5와 같은 형식을 var1 += 5처럼 코드를 단순화시킬 수 있으며, 짧고 간결하게 코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매번 새로운 변수를 생성하지 않고, 기존의 변수를 활용하여 새로운 값을 만들 수 있어 성능에도 조금은 도움이 될 수 있고, 중요한 것은 프로그래밍의 의도가 명확하게 전달되어 복잡한 계산에도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는 장점이을 가지고 있다.

이번 시간은 지난 시간에 배웠던 내용을 대부분 포함하고 있어서, 큰 어려움 없이 공부할 수 있었으리라 생각한다.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복합 대입 연산자는 변수의 값을 반복적으로 경신해야 하는 반복문에 참 많이 사용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쉽다고 흐지부지 넘어가지 말고, 충분한 연습을 통해 익혀두기를 바란다.


우리 같이 열심히 공부해 봅시다.
죽이 되는 것보다 밥이 되는 것을 목표로~~^^

 

위 내용은 공부하면서 이해한 내용과 단편적인 검색 지식으로 작성된 내용으로 글에 오류가 있을 수 있으며,
오류나 잘못된 정보가 있으면 언제든지 댓글 주시면 최대한 반영/수정하겠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