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벤터 활용 팁 인벤터 콘텐츠 센터 라이브러리 마이그레이션 방법 및 사용자 라이브러리 활용방법 강좌, 인벤터 실무, 부품 DB
이번에 포스팅하는 인벤터 활용 강좌는 며칠 전 방명록에 작성된 문의에 대한 내용으로, 하위 버전의 콘텐츠 센터 라이브러리를 상위 버전에서 바로 사용할 수 없는데, 어떻게 하면 좋으냐에 대한 내용이다.
서관덕의 시간이 머문 작은 공간
솔리드웍스, 인벤터, CAD 및 3D프린터 기술(동영상) 강좌 등 지식을 공유하는 블로그
esajin.kr
[Inventor]인벤터 외부 콘텐츠 센터 라이브러리 사용하기
인벤터 inventor 2012 2011 2010 컨텐츠 센터 라이브러리 설계 설계가속기 프레임 생성 프레임설계 활용 팁 앞 강좌에서는 인벤터 콘텐츠 센터의 라이브러리를 활용할 수 있도록 파일을 제공하였다.
esajin.kr
[Inventor]인벤터 컨텐츠센터 - 알류미늄 프로파일 라이브러리
인벤터라는 3D캐드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목적은 정말 다양하게 많을 것이다. 그중에서 자동화 기계를 제작하는 회사에서 참 많이 활용하고 사용하고 있는 걸로 알고 있는데, 그중에서도 알류미
esajin.kr
매년 새로운 버전으로 릴리즈 되는 오토데스크사 제품 중, 인벤터 같은 경우는 상위 버전에서 제작된 내용이 하위 버전에서 전혀 열리지 않는 불편함이 있지만 하위의 버전 작업된 내용은 상위 버전에서 잘 열린다.
하지만, 인벤터에서 제공하는 콘텐츠 라이브러리는 하위 버전의 부품 파일 데이터가 상위 버전에서 바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하위 버전의 DB 테이블을 상위 버전의 DB 테이블에 맞게 끔, 업데이트 즉 마이그레이션을 시켜줘야지만 사용이 가능하다.
예전에 프로파일을 콘텐츠 라이브러리로 이 블로그뿐만 아니라, 몇몇 개의 카페에 공개한 적이 있었다.
그 당시 2012로 제작해버려서 2012 이하의 버전에서는 무용지물이 되어 버렸지만, 2012 이상의 버전에서는 충분히 사용할 수 있는 내가 생각해도 정말 유용한 자료인데, 몇몇 개의 글을 보면서 마이그레이션 하는 방법을 몰라 못하시는 분들을 본 적이 있어 한번 포스팅해야지 하다가 이제야 한다.ㅋㅋ
크게 어렵거나 복잡하지 않는 아주 단순한 인벤터 콘텐츠 센터 라이브러리 마이그레이션 시키는 방법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자.^^
사용자 라이브러리 사용과 마이그레이션은 프로젝트에서
콘텐츠 센터의 라이브러리를 사용자가 직접 만들거나, 이미 생성된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려면, 제일 먼저 프로젝트를 구성해야 한다.
특별하게 프로젝트를 구성하지 않고, 기존의 Default를 이용한다면, 다로 밑에 있는 내용부터 보면 되겠지만, 일반적인 사용자라면 분명히 프로젝트를 구성해서 사용할 것이다.^^
기존에 있는 프로젝트가 있다면, 해당 프로젝트를 활성화시켜놓고, 아니면 새로 만들기를 통해서 사용하고자 하는 작업 폴더에 대한 프로젝트를 하나 설정해두고 시작하자.
프로젝트란?
인벤터에서 프로젝트란 바로 공통적인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 할 작업 폴더를 설정해 두고, 관리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프로토타이핑 형식의 모든 3D 캐드 프로그램은 하나이상의 파일과 함께, 각각의 파일 간에 관계가 존재하고 있다. 각각의 파일 관계성을 유지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프로젝트를 꼭 설정해야지만, 링크가 끊어지거나 부품의 위치를 못 찾는 불상사를 방지할 수 있다.
새롭게 프로젝트를 생성하였거나, 기존의 프로젝트를 활성화시켰다면, 프로젝트 관리창 우측 하단에 있는 ①번 콘텐츠 센터 라이브러리 구성 아이콘을 선택하면, 라이브러리 구성 창으로 넘어간다.
라이브러리 구성창에 들어왔다면, 몇몇 가지 먼저 선행해야 하는 작업이 있다.
우선, 현재 사용하고자 하는 하위버전의 라이브러리 파일이 현재 폴더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확인해야 한다.
만약 파일이 없다면, ①번의 경로를 클릭하여 해당 파일을 복사해서 넣으면 되고, 하위 라이브러리가 존재하고 있다면 위 그림과 같이 노란색 느낌표가 있는 목록이 보일 것이다.
노란색 느낌표가 있다는 것은 현재 버전과 맞지 않는 버전의 라이브러리 파일이다라고 표시해주는 것이고, 앞에 체크란을 선택하여 현재 프로젝트에서 사용자 라이브러리를 사용하겠다고 선택한 다음, 확인 버전을 눌러, 프로젝트 창으로 돌아가자.
그래고, 프로젝트창 하단에 있는 저장 버턴을 눌러 현재 설정값을 저장하고, 다시 콘텐츠 센터 라이브러리 구성에 들어간다.
사용자 임의의 라이브러리 파일 사용방법에 대한 내용은 외부 컨텐츠센터 라이브러리 사용하기 참고하면 될 것이다.^^
라이브러리 파일 위치 변경?
Vault환경이 아닌 일반 로컬 컴퓨터를 사용하는 경우, 인벤터 프로그램이 설치된 로컬 컴퓨터에 인벤터 콘텐츠 센터 라이브러리가 설치된다. 하지만, 필자처럼 SSD를 사용하고 있어 저장공간이 부족하거나 하면 용량 때문에 참 껄끄러운 게 바로 이 콘텐츠 라이브러리 파일이 아닌가 싶다.ㅋ
콘텐츠 센터 라이브러리는 인벤터를 처음 설치할 때, ( http://esajin.kr/485 - 2014 설치 , http://esajin.kr/362 - 2013 설치 참고) 설치될 경로를 미리 변경해서 설치할 수도 있고, 나중에 응용프로그램 옵션에서 콘텐츠 센터 라이브러리의 위치를 변경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Vault환경을 구축하기는 어렵고, 한 사람 이상의 사용자가 같은 콘텐츠 라이브러리를 가지고 활용해야 하는 소규모 설계실 같은 경우, 로컬 네트워크상에 콘텐츠 센터 라이버러리 폴더를 공유해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도 있다.^^
앞전 사용자 라이브러리 파일 사용을 프로젝트에 저장을 시키고, 다시 콘텐츠 센터 라이브러리 구성에 접근한다.
마이그레이션 시킬 라이브러리 파일①을 선택하고, 아래에 있는 5개의 아이콘 중 제일 오른쪽에 있는 업데이트 도구②를 클릭하면, 업데이트 도구 창이 나타 난다.^^
콘텐츠 센터 라이브러리 업데이트는 아래 순서대로 진행하면 된다.




이렇게 순차적인 업데이트를 수행하면 특별하게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 한, 별문제 없이 현재의 버전으로 변경이 이루어진다.^^
단, 현재 버전으로 마이그레이션 된 콘텐츠 센터 라이브러리 파일은 두 번 다시는 하위 버전에서 사용할 수가 없으므로, 마이그레이션 시킬 라이브러리의 원본 파일은 별도로 보관해 두고 사용하는 것을 적극 추천한다.^^
인벤터 컨텐츠 센터 라이브러리 마이그레이션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오래전부터 인벤터를 사용해 온 사용자라면 충분히 알고 있는 내용이고, 또 많이 활용하는 내용이지만, 이제 막 인벤터를 도입해서 활용하는 분들이 협력업체나 지인을 통해서 얻은 값진 라이브러리 파일을 현재 버전에 적용을 못해 그림의 떡으로만 있었던 파일을 이제는 손쉽게 업데이트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