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토데스크 인벤터(inventor) 동영상 강좌, inventor, 무료 동영상 강좌, 무료강좌, 인벤터, 인벤터 모델링, 커버 모델링, 전산응용기계제도 기능사, 기계설계 산업기사/기사, 건설기계산업기사/기사 시험 준비
[Inventor]인벤터 볼 밸브 조립품 생성 - 인벤터 기술자격 2013년 9월 28일 기출문제풀이
오토데스크 인벤터(inventor) 동영상 강좌, 인벤터 기술자격 2급 시험으로 인벤터 자격증 취득을 위한 가장 빠른 지름길을 안내한다. 인벤터 강좌, inventor, 무료 동영상 강좌, 무료강좌, 인벤터, 인
esajin.kr
[Inventor]인벤터 볼 밸브 모델링 - 인벤터 기술자격 시험 2013년 9월 28일 기출문제풀이
오토데스크 인벤터(inventor) 동영상 강좌, 인벤터 기술자격 2급 시험으로 인벤터 자격증 취득을 위한 가장 빠른 지름길을 안내한다. 인벤터 강좌, inventor, 무료 동영상 강좌, 무료강좌, 인벤터, 인
esajin.kr
앞전, 2013년 9월 28일 자 인벤터 기술자격 2급 시험 본체 모델링 및 조립품 생성에 이어 마지막으로 인벤터에서 도면 작성하는 내용을 포스팅한다. 인벤터에서의 도면은 여타 다른 3D 캐드 프로그램보다 발군의 능력을 발휘하는(?) 모듈이 아닌가 생각한다.^^
항상 작업하면서 느끼는 것이지만, 인벤터 도면 생성은 오토캐드에서의 도면 작도에 버금갈 정도.ㅋㅋ
자주는 아니었지만, 몇몇 번의 포스팅을 통해 인벤터 도면 작성하는 내용을 소개했지만, 도면 스타일 편집기를 제외한다면, 너무나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그런 도면 모듈이 아닌가 생각한다.
인벤터 도면을 생성하는 데 있어 가장 고민스러운 것이 기준 뷰를 생성하는 일 일 것이다. 기준 뷰라는 것은 도면 투영 뷰를 생성하기 위한 기준으로, 도면 생성에서 제일 먼저 가져오는 뷰이다.
이 기준 뷰는 정확하게 정답이 없다. 3각법이라는 투상도법 중에서 정면이, 좌/우측면이 또는 윗면이 기준일 수 있는 도면에서 기준을 찾는 것은 살짝 고민되는 작업이지만, 간단하게 생각하자.^^
이번 도면의 기준은 좌측면이 기준이다. 왜? 좌측이 기준일까? 보통 오토캐드 등 2D 도면 생성 시(설계가 아닌 제도일 경우) 정면, 또는 윗면을 기준으로 많이 작도하지만, 인벤터의 경우는 일반 캐드처럼 꼭 정면을 뽑고, 윗면과 좌, 우측면을 뽑지는 않는다.
이것은 전단면 또는 반단면 때문에 정면 또는 윗면만을 고집스레 뽑지 않는 다는 것이다. 즉, 정면 쪽에 전단면 도면이 있다면, 3각법상 좌측의 뷰를 먼저 생성하고 단면을 이용해서 뽑아야지만 정면에 전단면이 작성되는 것이다.^^
이런 식으로 도면의 기준은 전체적인 작업의 흐름을 파악하여 정면이든, 좌/우측면이든, 윗면이든 정하게 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어떤 면을 기준으로 뽑아야 한다는 규칙은 없는 것이다.^^
도면은 제공하는 IDW 도면 템플릿을 사용하면 된다. 기본적으로 도면 스타일은 다 맞춰져 있으며, 사용자가 바꿔야 되는 부분은 관리 -> 스타일 편집기에서 기본 -> 스타일을 클릭하여, 우측에 뷰 기본 설정에서 1 각법을 삼각법으로 변경하여 저장하면 된다.
도면 및 부품 파일 다운로드
도면은 PDF로 작성되어 있으며, 공용부품 파일 및 도면 템플릿 파일은 인벤터 2010 버전으로 제작되어 있으니, 연습이나 공부를 목적으로 하시는 분들께서는 최소한 인벤터 2010 이상의 버전을 권장한다.
※ 2010 이상의 버전에서 도면 템플릿 파일을 열기 하면, 기존의 스타일과 맞지 않는다고, 현재 스타일로 변경할 것이냐고 묻는다. 이때, 분명히 "아니오"를 선택해야 한다.^^
볼 밸브 인벤터 도면 작성 동영상 따라 하기
인벤터에서 도면 작성은 다른 특별나게 어렵지는 않지만, 작성 시간이 생각보다는 많이 걸리는 단점이 있다.
조금이라도 시간을 줄여야 하는 시험 같은 경우는, 도면 생성에 대한 순서를 미리 정해두고 연습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보통의 경우를 보면 뷰 하나 생성하고, 주서 기입을 하는데, 처음에는 기준, 투영, 상세 및 브레이크 아웃, 오리기 등 기본으로 작성되어 있는 도면 뷰를 다 생성한다.
두 번째, 각각의 뷰에 있는 중심선을 생성하는데, 자동화된 중심선을 이용해도 되겠지만, 대부분 중심 표식, 중심선 이등분, 패턴 중심과 중심선을 이용하여 직접 작성하는 것이 어떻게 보면 편리하다.^^
세 번째, 치수 기업을 실시한다. 치수 기입은 일반적인 수동 치수 기입과 자동화된 치수 기입 등을 적절하게 활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또한, 상세나 브레이크 아웃으로 생성된 부분 단면에 선형 대칭 또는 선형 지름으로 생성된 부분에 치수 기입하는 방법을 적절하게 공부해 두면 시험뿐만 아니라 실제 도면을 생성해야 하는 상황에서도 편리하게 도면을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