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oCAD(오토캐드) 활용 무료강좌, Plot(플롯, 출력)에서 PDF 도면 생성 시 용지 여백(마진) 값 설정 방법, 전산응용기계제도, 기계설계 산업기사/기사 자격증 시험 및 일반 실무 도면 생성에도 많은 활용할 수 있는 일반적으로 잘 알려지지 않은 기능을 소개한다.
이번에 소개하는 오토캐드 활용 강좌는 어떻게 보면 가장 중요한 출력에 관련한 내용이다.
※ 오토캐드뿐만 아니라, 지스타캐드나, ZW캐드, 캐디안 같은 대안 캐드에서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캐드상에서 도면 작도와 치수, 문자 및 시트의 출력 형식까지는 제대로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가 많이 있지만, 출력에서 이런저런 많은 문제에 봉착하게 되는 경우를 많이 당해봤을 것이다.
AutoCAD도면 EPS파일 변환하기 - 필요성 및 방법
AutoCAD(오토캐드)를 한번 쯤 사용해봤거나, 공부중인 학생 특히나 건축이나 인테리어 관련한 분들이라면, 한번쯤 고민해봤을 내용에 대해서 이번에 설명하려고 한다. AutoCAD도면을 EPS파일로 변환
esajin.kr
그중, 도면을 직접적으로 종이에 출력하지 않고, 요즘 많이 사용하는 PDF 파일로 도면을 출력해야 하는 경우, 일반적으로는 아무런 세팅이나 추가적이 작업 없이 DWG to PDF.pc3 파일을 이용하여 PDF 파일로 출력을 하는 것이 일반적인 작업 형태라고 생각한다.
물론, 실무에 적용하시는 실무자 분들에 따라 아닌 경우도 있지만, 전체적으로 본다면, 많은 분들이 위에 말한 것과 같이 작업하고 있을 것이다.
일반적인 종이 출력이 아닌 PDF 출력일 경우, 대부분 무시하고 지나치고 있는 것 중에 하나가, 작업한 도면이 사용자가 설정한 용지 크기 딱 맞게 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용지 가장자리 부분에 일정한 공간을 두고 도면이 생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문제는 단순하게 NonScale(축척 값없음)으로 출력할 경우에는 이것이 큰 문제가 발생하지 없지만, 축척이 존재해야 하는 도면일 경우 상당히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한 번쯤은 축척 적용해서 PDF 생성해 보신 분들이라면, 이 말에 절대적으로 공감할 것이다.
이번 포스트의 내용이 바로 AutoCAd가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용지의 출력 가능 영역을 사용자가 원하는 값으로 변경하고, 그 변경된 값을 지속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내용으로 포스팅하고자 한다.
물론, 몰라도 큰 불편함은 없지만, 알고 있으면 더 정확한 도면을 출력할 수 있는 여건이 될 것이다.^^
자 지금부터, 출력에서 의 몇몇 가지 문제점을 보고, 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플롯 설정하는 순서대로 설명한다.
이번 강좌에서는 동영상 강좌를 제공하지 않음으로, 참고하시길 바란다.^^
문제점 1 - NonScale로 PDF 출력할 때
1. NonScale (Page to Fit, 용지에 맞춤) 출력할 때 플롯(Plot) 기본 세팅
우리가 일반적으로 PDF 파일로 NonScale(용지에 맞춤 출력) 출력할 때, 위 그림처럼 세팅해서 출력하게 될 것이다.
1. 프린터/플로터에서 DWG to PDF.pc3를 선택한다.
2. 플롯 축척에서 용지에 맞춤을 체크한다.
3. 미리 보기 한다.
※ 여기서 용지 크기와 플롯 영역은 미리 지정해 놓은 상태로 넘어간다.^^
2. 용지에 맞춤으로 미리 보기 했을 때 화면 상태
용지에 맞춤을 설정해 두고, 미리 보기 했을 때 화면은 위 그림처럼, 설정한 용지 크기보다 작게 도면이 그려지는 것을 볼 수 있고, 도면 가장자리 용지 크기를 정해 놓은 선분들도 화면상에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문제점 2 - 정확한 축척 값을 정해 놓고 출력할 때
1. 정확한 축척 값을 지정하는 출력 세팅
출력 축척이 정확하게 정해 놓은 상태에서 도면 출력이 필요한 경우도 일반적으로 익히 알고 있는 것처럼 세팅해서 출력하게 될 것이다.
1. 프린터/플로터에서 DWG to PDF.pc3를 선택한다.
2. 플롯 축척에서 용지에 맞춤을 체크 해제하고, 축척에서 원하는 축척 값을 골라 쓰거나, 사용자가 직접 축척 값을 정의한다.
※ xx밀리미터 값은 출력될 크기, xx 단위는 캐드 상의 단위(캐드 단위는 1 unit = 1mm)이며, 위 이미지처럼 세팅했다면 캐드상에 2 unit(즉, 2mm)가 출력되면, 1mm로 2배 축소해서 출력한다.^^
3. 미리 보기 한다.
※ 여기서 용지 크기와 플롯 영역은 미리 지정해 놓은 상태로 넘어간다.^^
2. 정확한 축척 값을 가지고 미리 보기 했을 때 화면 상태
종이에 맞춤 출력보다는 더 넓게 차 있는 도면 영역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좌우에 대한 부분은 그럭저럭 봐 줄만 하지만, 상하에 대한 부분은 정말 곤란할 정도로 많이 잘려서 보인다. ㅠㅠ
도면으로서 가치를 상실케 만들 수 있는 잘림이다. ㅠㅠ
위에서 확인한 것처럼, 종에 맞춤을 이용한 출력이든, 축척 값을 정확하게 해 둔 상태에서 의 출력인 두 가지 모두, 사용자가 절대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 미리 보기 되고, 실제 PDF 출력했을 때에도 이 미리 보기 화면과 동일하게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또 한 가지의 문제점이 있다면, 기본적인 프린터나 플롯 같이 출력 장치가 연결되어 있다면, 해당되는 출력 장비가 지원해주는 용지만 용지 크기에 나타나지만, PDF, EPS, PNG, JPG같이 파일로 출력물을 만드는 경우, AutoCAD가 기본적으로 제공해주는 모든 용지가 다 리스트에 나타나는 것을 아래 이미지처럼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사용자가 필요치도 않은 용지까지 리스트에 나타나 일반적으로 사용하기에는 너무 불편하다.
딱 사용하고 싶은 용지만, 또는 내가 직접 만든 용지 크기만 이용하고 싶은 경우가 많이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자... 지금부터 본격적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와 용지가 가지고 있는 마진 값을 조정하면 출력 용지를 세팅해보자.^^
사용자 정의 용지 및 마진 값 설정 방법
1. 프린터/플로터 장치 설정
우선, 필요한 출력 장비부터 선택하여야 한다.
1. 프린터/플로터에서 용지에 대한 설정을 변경할 장비를 선택한다. 여기서는 DWG to PDF.pc3를 선택한다.
2. 바로 옆에 있는 특성을 클릭한다.
2. 선택한 출력 장치에 대한 설정 편집기
특성을 클릭하면, 현재 사용 중인 출력 장치에 대한 특성 및 용지 설정에 대한 편집 창이 나타난다.
1. 현재 선택되어 있는 용지 크기에 대한 인쇄 가능 경계 영역을 보여주는데, A2 사이즈의 실제 용지 크기는 594x420인데 실제 출력 영역은 482.4x384.4로 꽤 많은 여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3. 사용자 정의 용지 크기로 사용할 용지 설정 방법
사용자 정의 용지 크기는 기존에 존재하는 용지 크기 외에 사용자가 임의로 정하는 용지 크기를 지정할 수 있다.
여기에는 기존에 있는 용지 크기라도, 그것을 무시하고 새로운 사용자 정의 용지를 만들어서 사용할 것이다.^^
1. 상단 리스트에서 사용자 용지 크기를 선택한다.
2. 하단에서 추가라는 버튼을 클릭한다.
3-1. 사용자 용지 크기 설정 시작
사용자 용지 크기 추가를 클릭하면 위 이미지와 같이 별도의 새로운 창이 하나 나타나고, 여기서 어떤 식으로 용지를 설정할 것인지 결정한다.
1. 처음부터 시작은 사용자가 직접 용지 크기를 설정 등 모든 것을 사용자 임의로 생성할 수 있다.
2. 기존 용지 사용은 기존에 오토캐드가 제공하는 용지 크기를 선택하여 필요한 부분에 대한 설정 값만 수정할 수 있다.
※ 이번 강좌에서는 1번, 처음부터 시작을 이용해서 설정하는 것을 포스팅한다.^^
3. 처음부터 시작을 선택하고 다음 클릭
3-2. 매체 바운드 - 용지 크기 설정
매체 바운드는 사용자가 사용할 용지의 크기를 직접 설정하는 부분이다.
1. 사용할 용지의 폭과 높이 값을 지정하고, 단위는 밀리미터(mm)로 설정하고, 다음 클릭
※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용지 크기를 알아본다면,
A4 : 297x210
A3 : 420x297
A2 : 594x420
A1 : 842x594
에 대한 사이즈 일 것이다.^^
3-3. 인쇄 가능 영역 지정 - 용지 마진(여백 값)
어떻게 보면, 이번 강좌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일 것이다.
기존의 용지를 사용하지 않고 새로운 용지를 만드는 것도, 바로 이 인쇄 가능 영역에 대한 부분을 수정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1. 맨 위, 아래, 왼쪽, 오른쪽에 대한 마진 값을 지정하는 데, 기본 값으로 13mm가 설정되어 있다.
이것을 사용자가 원하는 값으로 설정해두면 되는데, 여기에는 "0"이라는 값으로 수정하고, 다음
3-4. 사용자 용지에 대한 이름 부여
사용자가 생성한 용지를 알아보기 위한 이름을 작성한다.
이왕이면 이쁘게 적어두면 보기도 좋을 것이다.ㅋㅋㅋ
3-5. 사용자 설정값 저장
AutoCAD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고 있는 출력 장치에 대한 파일은 사용자가 변경하더라도 직접적으로 적용하지 못하고, 별도의 PMP파일로 저장이 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 용지 크기의 지정이나, 이외에 다른 설정 값을 수정하더라도 수정된 정보 값은 PMP파일로 별도로 저장이 된다.
그리고, 이렇게 한번 지정된 PMP파일이 있다면, 다음부터의 변경 값에 대해서는 자동으로 정의된 PMP파일로 저장된다.^^
3-6. 사용자 용지 크기 마침
3-5번에서 PMP파일까지 정상적으로 완료하고, 최종 마침을 누르면 사용자 정의 용지가 하나 생성된다.
그리고, 3번의 전 과정을 계속적으로 수행하여, 필요한 용지의 크기를 하나씩 별도로 생성해서 사용하면 된다.^^
4. 용지 크기 필터링에서 필요치 않는 용지 제거 방법
사용자 용지 지정이 끝나면, 사용하지 않는 용지에 대해서는 리스트에 보일 필요가 없을 것이다.
그래서, 필요치 않는 용지는 다음과 같이 세팅하면 원하는 크기의 용지만 볼 수 있다.
이 방법은 사용자 정의 용지를 설정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많은 용지 크기 중에서 원하는 것만 골라서 설정해서 사용해도 된다.
1. 설정 목록에서 용지 크기 필터링을 선택한다.
2. 하단 옵션 창에 크기에 오토캐드가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수많은 용지가 좌측 체크 박스에 체크되어 있는 현상을 볼 수 있는데, 필요치 않는 것은 하단에 모두 취소 버튼을 누르면, 체크 박스에 체크가 전부 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이때, 필요한 용지만 다시 설정해도 좋고, 사용자 용지가 있다면 전부 빼도 좋다. 하지만, 전부 제거는 되지 않고 기본적으로 하나의 용지 리스트는 가진다.
4-1. 설정된 변경 값 저장
용지 크기 필터링이나, 표준 용지 크기 수정을 변경했을 때, 이 변경된 설정 값을 저장하라는 메시지가 보인다.
현재 플롯에 대한 변경 사항만 적용에 체크되어 있으면, 현재 작업에 대한 내용만 적용하고, 나중에 새롭게 출력을 하거나 할 때는 또 동일하게 변경을 시도해야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재 플롯에 대한 변경 사항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다.
위 이미지 1번처럼 변경 사항을 다음 파일로 저장에서 기본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DWG to PDF.pc3파일에 덮어쓰거나 새로운. pc3파일을 생성해서 사용하면 된다.
3번 과 4번에 대한 세팅이 완료되고, 다시 플롯 창에 들어가서 용지 크기를 확인해보면, 처음에 그 많던 용지 사이즈는 보이지 않고, 사용자가 만들어 놓았던, 용지 크기와 기본적으로 있어야 되는 하나의 기본 용지만 리스트에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정확하게 용지에 맞게 출력 확인
용지에 맞춤 출력 예
용지에 맞춤에 설정을 해두고, 출력했을 경우
마진 값이 없는 용지를 선택하고, 용지에 맞춤으로 미리 보기 했을 때의 결과물이다.
어떻게 처음에 기존 용지를 사용했을 때와는 분명히 틀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축척 적용 후, 출력 예
출력 축척 값을 설정해 둔 상태에서 출력한 경우
축척 값이 존재하고 있어도 용지의 가장자리에 딱 맞게 도면 용지의 외형이 걸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현재 샘플로 사용된 도면의 외곽선이 기존에 마진 값이 있는 도면에 맞춰져 있는지, 현재 조건에서는 외곽선이 용지에 딱 붙어있지만, 실제 일반적으로 용지 크기를 도면상에 정하고, 외곽선은 대부분 7~10mm 정도 안쪽으로 넣어두기 때문에, 실제 출력했을 때나 PDF 파일로 만들었을 때는 정확하게 출력될 것이다.
도면 PDF 파일 저장
모든 설정이 끝나고, 마지막으로 확인 버튼을 누르면, 생성될 PDF 파일의 저장 위치를 묻고, 저장 버튼을 누르면,
저장이 완료된 후, 화면상에 PDF VIEW에 의해서 PDF 출력된 결과물을 화면상에 보여준다.
이렇게 출력된 PDF 도면도 앞에서 미리 보기 했을 때 보인 모습과 동일하게 용지 가장자리에 마진 값이 없이 용지에 딱 맞게 출력된 모습을 보 수 있다.
어떻게 조금 도움이 되었는지 모르겠다.
동영상으로 보여주거나 말로 설명하면, 대략 5분 정도의 분량이지만, 이렇게 글과 이미지로 설명하려니 상당히 많은 것처럼 보인다. ㅠㅠ
뭐 어떻게 하겠는가 직접 와서 설명을 들을 수도 없는 노릇이니, 조금은 긴 내용이지만 차근차근 내용을 이해하면서 보면, 쉽게 여러분들만의 지식이 될 것이다.^^
출력 용지에 대한 마진 값 설정하는 부분에 대한 내용이 인터넷 상에 많이 없는 것 같다.
별로 대단한 내용은 아니지만, 분명히 이 마진 때문에 골머리 아팠을 분들도 많이 계실 것이고, 어떻게 해결하고자 노력하셨든 분들도 많이 계실 것이다.
이제는 도면 출력 때문에 더 이상의 스트레스는 받지 말자..^^
비록 PDF 파일 생성에 대한 내용으로 설명했지만, EPS 도면 출력 및 JPG, PNG 출력 또한 동일한 방법으로 설정하면 된다.
그리고, 일반 종이 출력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정의 용지를 사용할 수가 없도록 되어 있는 것 같다.
물론 테스트해 본 것이 내 컴퓨터에 물려있는 프린터로 테스트했기 때문에 다를 수는 있겠지만, 일반적인 경우 추가 용지는 안되고, 기존에 존재하고 있는 용지의 마진 값을 변경해야 하는데, 이것은 표준 용지 크기 수정(인쇄 가능 영역)에 들어가셔서, 해당되는 용지 크기에 대한 마진 값을 수정하고, 마찬가지로 PMP저장 후, 설정 값을 저장해서 사용하면 된다.
이것으로 별것 없지만, 꽤 요긴하게 사용할 수 있는 AutoCad도면을 용지에 딱 맞춰 출력할 수 있는 기본적인 세팅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몇 번의 연습을 통해서 여러분들의 것으로 만들었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