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는 솔리드웍스를 이용하여 부품 조립에서 많이 사용되는 볼트와 너트를 KS규격에 최대한 맞춰서 나사를 모델링하고, 완전 나사부와 불완전 나사부 모델링 방법에 대해서 동영상으로 소개한다.
솔직히, 규격에 맞춰진 볼트나 너트 같은 경우, 실제 업무에서는 BOM을 목적으로 양식으로 표현된 부품 요소를 사용하지, 이번 강좌처럼 정말 디테일하고 규격에 입각하여 정확하게 모델링하지 않는다.
솔직히, 디테일을 요구하지 않을 뿐 들어, 내가 직접 모델링하여 업무에 적용할 시간적 여유도 없기 때문에, 대다수의 경우 3D 캐드에서 제공하는 부품 라이브러리를 이용하는 것이 대부분일 것이다.
물론, 비규격 나사와 같이 해당 조립품에 전용으로 사용되어야 하는 볼트나 너트 같은 경우는 디테일하게 모델링하거나 또는 약식으로 표현하고, 설명서와 같이 주서로 표시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이와 같이, 꼭 모델링하는 방법에 대해서 굳이 언급이 필요는 없고, 지긋이 실무적인 이야기이지만, 3D 캐드로 공부를 하시거나, 다양한 모델링 방법에 대한 스킬을 갖추고자 하거나, 규격제품의 모델링 방법을 익히고 싶다거나 한다면, 업무적인 목적 이외에도 충분히 시도해볼 만한 사항이고, 규격의 이해와 작업의 숙련도를 높일 수 있는 좋은 공부가 아닐까 생각한다.
유튜브나 각종 카페, 블로그 등에서 다양한 방법과 내용으로 볼트와 너트 모델링 방법을 소개하고 있으며, 나 또는 그런 내용의 일부분이다.
다만, 최대한 규격에 맞추고, 규격 표에 실린 내용이 어떻게 적용되는지 보여주는 내용으로 이번 동영상 강좌를 만든 것이기 때문에, 한번 정도 참고하시면 공부하는데 좋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이번 동영상 강좌에 사용된 규격은 KS B 1002:2016 6각 볼트(A등급), KS B 1012:2017 6각 너트 (스타일 1, 부품 등급 A), KS B 0201:2016 미터 보통 나사의 규격을 인용했다.
자세한 규격 데이터는 KS표준 열람서비스(standard.go.kr)에서 열람 또는 서점에서 판매되고 있는 KS규격 데이터 북 등을 참고하기를 바란다.
볼트 모델링 방법
너트 모델링 방법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3D 캐드 소프트웨어들은 대부분 위와 같이 볼트나 너트를 라이브러리 부품을 제공하고 있지만, 이번 강좌처럼 디테일하게 나사를 표현하지 않는다.
이는 도면 생성에도 문제가 발생하며, 더더욱 큰 문제는 나사 하나하나 나사산을 모델링하면 엄청난 시간과 용량, 그리고 시스템의 부하를 유발하기 때문에 대부분 표현을 이미지나 약식으로 표현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전산응용기계제도 기능사나, 기계설계 산업기사, 기사에서 3D로 작성하는 부품에는 나사를 실제 모델링하여 표현하는데, 약식 또는 이미지로 표현되지 않는 3D 캐드를 이용하는 경우, 나타낼 수 있는 방법이 없기 때문에, 대략적으로 나사산 형식태로 모델링하라고 한다.
이런 국가기술자격에서도 동영상과 같이 볼트나 너트에 나사산을 디테일하게 모델링하여 제출할 수도 있겠지만, 시험에서는 어디까지나 이것이 "나사"라는 것만 나타내 주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꼭 동영상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지 않아도 무관하다.
실제 업무에 필요하다면, 디테일하게 모델링하겠지만, 그렇지 않는다면 그냥 연습 정도로 알아두면 좋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