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oCAD]블록(Block)과 그룹(Group)의 차이점 이해 - 오토캐드 기초
오토캐드에서 블록과 그룹에 대한 차이점을 알아보자. 딱부러지게 구분해 놓은 자료를 거의 없어서 내가 이해하고 있는 부분에 대해서 포스팅한다.캐드실무, 오토캐드 강좌, 온라인 강좌, 상향식설계, 하향식설계
AutoCAD(오토캐드)에서 블록(Block)과 그룹(Group, 객체 그룹화)은 초창기부터 사용되어지고 있는 기능으로, 보편적으로 정말 많이 사용하고 활용되어지는 기능이다.
하지만, 이것은 블록이라는 기능에 한정되어 많이 사용되어지고 활용되어지지만, 그룹(명령 : Group, 단축키 : G)명령은 알고는 있지만, 어떻게 사용해야 되는지 모르는 분들도 많고, 또 블록과 그룹을 똑같은 내용으로 또는 햇갈려하시는 분들도 있고, 그룹에 대한 기능의 존재조차 모르는 분들도 많이 있는 것 같다.
이번 포스팅의 내용은 많이 사용되어지는 블록과 많이 사용되어지지 않는(?) 그룹에 대한 차이점에 대해서 한번 기술해보겠다.
그룹도 적절하게 잘 활용하면, 정말 편리하게 도면관리 및 작업관리를 할 수 있으므로, 간단한 도면구성이 아닌, 단품과 조립품이 같이 존재해야 하는 기계도면이나, 다양한 도면요소들이 수시로 변경되어져야 하는 경우 그룹을 적절하게 활용하면 편리할 것이다.
블록은 이미 많은 활용과 기능으로 잘 알려져 있기 때문에, 그룹을 주로 설명한다.^^
그룹[Group]명령의 이해
그룹은 블록과 마찮가지고, 여러개의 객체를 하나의 객체셋트로 묶어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으로, 선택적인(Select Object) 상황으로 본다면 블록과 큰 차이가 없는 것 처럼 보이지만, 이 블록과 그룹은 많은 부분에서 차이를 두고 있다.
블록과 그룹의 가장 중요한 차이는 선택적 부분 객체편집에 있다.
블록은 블록으로 정의된 객체를 수정하기 위해서는 익이 알 있는 것 처럼 블록편집기(Bedit, 단축키 : be)를 이용하지만, 같은 인스턴스의 블록은 동일하게 변경되어지는 문제를 가지고 있으며, 분해(Explode, 단축키 : x)명령을 이용해서 블록을 해체시켜 놓고 객체편집을 수행하고는 다시 블록으로 설정해야하는 불편함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그룹은 그룹으로 정의된 객체를 수정하기 위해서 별도의 해체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시스템변수Pickstyle 에서 "1"을 입력하면 그룹 정의를 선택하고, "0"을 입력하면, 그룹정의된 개별객체만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그룹 정의된 부분 또는 전체를 선택하기 위해서 "Ctrl+H" 또는 "Ctrl+Shift+A"키를 눌러 그룹선택을 켜고 끌 수 있다.
※ "Ctrl+H"는 Pickstyle의 시스템 변수값을 "0"과 "1" 또는 "2"와 "3"으로 변경시키는 단축키이고, "Ctrl+Shift+A"키는 그룹을 꼈다 켰다 할 수 있다. 끄기("0")하면이면 개별선택, 켜기("1")하면 그룹 전체 선택이 된다.
※ 전체 그룹선택 상태에서 별도의 셋팅없이 신축(Stretch [단축키 : S]명령을 이용하여 도면을 수정 편집할 수 있다.
어떻게 그룹에 대해서 조금 이해가 되는가?
그리고, 블록과 그룹의 차이점에 대해서도 이해가 되는가?
그렇다면, 왜? 그룹과 블록을 구분해서 사용해야 하는가에 대한 의문점이 남는다.
또는 블록만 이용하면되지 왜? 머리아프게 그룹도 같이 활용해야 되는지에 대한 의문도 존재하게 될 것이다.
자 그러면, 아래에 있는 두개의 도면을 한번 보자.
클릭하면 큰 이미지로 볼 수 있다.
클릭하면 큰 이미지로 볼 수 있다.
위에 있는 두개의 도면에서의 공통점은 각 이미지의 좌측은 어셈블리(조립품)이고, 오른쪽에 있는 것은 각 파트(부품)에 대한 도면들이다.
캐드에서 블록과 그룹을 이용해서 이런식의 도면을 어떻게 작성하느냐에 대한 부분은 사용자 작업스타일에 따라 달라지고, 단순한 제도이냐, 설계이냐 따라서도 달라질 것이다. 그리고, 중요한것은 설계 또는 제도 방식, 즉 Top-Down(하향식)설계방식이냐, Bottom-Up(상향식)설계방식 1이냐에 따라서도 달라질 것이다. 2
위에 있는 두 도면을 토대로 한번 이해를 해보자.
위 두 도면의 특성이 정말(?) 많은 부품으로 이루어진 제품이다.
이런 제품을 하향식 또는 상향식으로 설계할 때, 부품을 블록정의 후 조립도를 생성하거나 을 하거나 조립도 생성할 때 부품을 하나씩 블럭으로 잡아서 부품도면을 생성할 때, 가장 큰 장점은 블럭의 경우 인스턴스가 되어 있기 때문에 부품이던 조립품이던 하나만 수정하면, 둘다 수정이 되는 장점이 있지만, 조립품에서 부품간 간섭이나 조립위치등에 대해서는 또 일일이 변경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그래서 이러한 수정들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블럭을 분해, 재정의를 반복하게 되고, 쓸데없는 블럭생성과 함께 도면의 용량과다로 인한 성능저하등 많은 불합리한 조건들을 가지게 될 것이다.
※ 도면영역상에 불필요한 블록, 레이어, 선종류, 각종 스타일등 시스템자원을 잠식하는 요소를 제거할 때는 명령 : Purge [단축키 : PU]를 이용하면 도면내 불필요한(사용하지 않는) 요소를 제거할 수 있다.
이렇게 수많은 도면수정과 설계변경등이 이루어져야 하는 경우, 블록 보다는 그룹 사용을 적극 추천하고 있다.
그룹은 블록보다 유기적인 선택이 가능하다.
위에서 말한 것처럼 그룹 상태에서 부분선택 수정이 용이하기 때문에, 대부분 실무에서 활용하는 하향식설계방식(상향식 방식도 같이 활용함.^^)의 경우, 각각의 부품을 그룹화 시켜놓고, 신축(Stretch [단축키 : S]명령과 같이 부분수정이나 부품간 조립관계등을 판단하면 수정해야 되는 경우, 선택에서 상당히 유리한 작업의 형태를 갖출 수 있을 것이다.
한가지 단점이 있다면, 조립품에서 단품도면을 뽑거나 단품도면에서 조립품을 생성할 때, 그룹은 인스턴스 되어 있지않고, 개별 그룹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조립품 수정이 부품수정으로 연계되지는 않는다.
지금까지 블록(Block)와 그룹(Group)에 선반적인 차이에 대해서 이해 하는지 모르겠다.ㅎㅎ
필요에 따라 이 두기능을 적절하게 혼용한다면, 작업이 지금보다는 훨씬 수월해지는 것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다시 한번더 요약한다면,
편집수정이 거의 없는 도면요소, 기호, 심블등은 블록 정의 후 사용하는 것을 추천하고, 반대로 편집수정이 밥먹듯이 이루어져야 하는 도면의 부품같은 요소들은 그룹을 이용하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니, 이제는 블록과 그룹을 정학하게 구분하여 표현하고, 적절한 목적에 맞게 사용하기를 바랍니다.
'배워서 남 준다 > 2DCAD&Etc CAD' 카테고리의 다른 글
[AutoCAD] 오토캐드 활용 팁 - 플롯(Plot)에서 PDF도면(출력)을 만들 때 용지 여백(마진)설정 방법 (36) | 2013.09.26 |
---|---|
[AutoCAD]오토캐드(AutoCAD) 기술자격 1급 시험대비 동영상 강좌 #1 (11) | 2013.08.15 |
[AutoCAD]오토캐드 활용 팁[동영상 강좌 포함] - 도면축척 맞추기(NonScale 도면) (44) | 2013.06.13 |
[AutoCAD]블록(Block)과 그룹(Group)의 차이점 이해 - 오토캐드 기초 (22) | 2013.04.17 |
[AutoCAD]오토캐드 환경설정 - 프로그램 설정 사용자화[기본 메뉴얼] (61) | 2013.04.13 |
[AutoCAD]동적블록을 이용한 도면기호(다듬질 기호) 만들기 - 오토캐드 동영상 강좌 (12) | 2013.04.03 |
[AutoCAD]동적블럭을 이용한 표면거칠기 기호 만들기 - 오토캐드 활용 팁(동영상 강좌 포함) (22) | 2013.03.29 |
Comments 22
-
-
서관덕 서관덕의 시간이 머문 작은공간™
안녕하세요. 방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캐드도 어떤 분야에서 어떻게 적용하느냐에 따라 난의도가 참 많이 달라지죠..
회사업무외에 다양한 도면을 가지고 연습해 두시면 차후에 많은 도움이 될 듯 합니다.^^
-
-
솜다리™
오토캐드 넘 오랜만에 접하는듯 합니다..
하나하나 배워야할 형편인데.. 감사히 보고 가내요^^-
서관덕 서관덕의 시간이 머문 작은공간™
앗 솜다리님께서도 캐드를 사용하셨어요? 하하하
주업이 아니더라도 한번씩 캐드를 다뤄보시면 재미있을 듯 합니다.하하
-
-
박병구
안녕하십니까. 어렵긴하지만 예전에 오토캐드를 쓴 경험으로 나름 이해를 해가며 잘 봤습니다. 질문하나를 하고싶은데요, 제가 최근 오토캐드에서 작성된 공장레이아웃 도면을 받았습니다. 그런데 작성자가 그룹을 너무 많이 많들어놔서(기계 하나하나 기둥하나하나, 기계그룹을 깨면 그 속의 볼트 하나까지도) 하나씩 그룹을 깨고있는데(언그룹) 한번에 이 그룹들을 다 깰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
서관덕 서관덕의 시간이 머문 작은공간™
안녕하세요.
오토캐드 기본 기능으로 일괄처리 기능은 없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리습이나 ARX로 별도로 작성하시거나 작성된 명령을 추가하셔야지만 될 듯합니다.ㅠㅠ
-
-
-
서관덕 서관덕의 시간이 머문 작은공간™
안녕하세요..
글을 제대로 안읽어신것 같네요..^^
그룹 대화상자의 기능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기 를 클릭하시면
그룹 기능에 대한 설명이 있고,
새로 만들기에 대한 기능에 그룹 정하는 방법이 글로 설명되어 있습니다.
간단한 순서로 작성해 놨기 때문에 그룹설정 및 해제는 별도의 설명없이 여기에 있는 기능 설명만 보시더라도 이해 할 수 있을 것입니다.^^
-
-
하얀구름둥둥
안녕하세요?
좋은 글 보고 정보얻어가네요..
그룹이 만들고나서 선택이안대서 한참을 애먹었습니다. ㅋ
질문이 한가지..
트림 명령어랑 비슷한건대요
예를 들어 직사각형폴리선을 경계로 걸리는 모든 것들을
트림해버리는 명령어가 있었는데...
기억이 나질 않네요;;
2014 캐드파워 사용중이구요..
혹시 아신다면 알려주심 감사하겠습니다.-
서관덕 서관덕의 시간이 머문 작은공간™
안녕하세요. 답글이 늦었습니다.
하얀구름둥둥님께서 말씀하시는 내용은 아마 캐드파워에서 추가된 기능인듯 합니다.
현재 오토캐드에서는 기본적으로 제공하지 않는 기능인 것 같습니다.
-
-
스페셜리스트
글 잘 봤습니다. 그런데 제 컴퓨터에서는 group 명령을 실행하면 command창에서만 뜨고 객체 그룹화 대화상자가 안뜹니다. 혹시 무엇을 건드려야 대화상자가 뜨게 되는지 아시나요??
-
서관덕 서관덕의 시간이 머문 작은공간™
안녕하세요.. 답글이 정말 많이 늦었네요..ㅠㅠ
AutoCAD 2012인가 부터는 클래식 명명보다는 리본명령을 우선하여 명령체계들이 조금 변화가 있었던 모양입니다.
그래서, Array나 Group같은 몇몇 명령이 기존의 다이아로그박스에서 커멘트로 변경 된듯 한데요..
예전 그룹 창은 classicgroup 이라는 명령으로 존재합니다.^^
-
-
-
서관덕 서관덕의 시간이 머문 작은공간™
안녕하세요.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유용한 정보들을 계속 제공하겠습니다.
자주 방문해 주세요..^^
-
-
keroro
제게 필요한 정보가 여기에 다 있군요
복받으실거에요^^
팅크좀 퍼가도록 하겠습니다
다음번 찾아오기 쉽게 ㅠㅠ-
서관덕 서관덕의 시간이 머문 작은공간™
안녕하세요.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공부에 도움이 되셨다니 저 또한 기분이 좋습니다.^^
자주 찾아주세요..^^
-
ㅎ 회사에서 기본적인 것만 다루면서 쓰긴하는데... 복잡하게 들어가면 머리가 아프네요..ㅎㅎ 잘보고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