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지사(直指寺)
고구려의 아도(阿道)가 지었다는 설이 있으나 현재 사적비(寺蹟碑)가 허물어져 확실한 것은 알 수 없고, 418년(눌지왕 2)에 묵호자(墨胡子)가 경북 구미시에 있는 도리사(桃李寺)와 함께 창건했다고 전한다. 그 후 645년(선덕여왕 14)에 자장(慈藏)이, 930년(경순왕 4)에는 천묵(天默)이 중수하고, 936년(태조 19)에 능여(能如)가 고려 태조의 도움을 받아 중건하였는데, 임진왜란 때 불에 거의 타버려 1610년(광해군 2)에 복구에 들어가 60여 년 후 작업을 끝맺었다.
직지사라는 절 이름은 능여가 절터를 잴 때 자를 쓰지 않고 직접 자기 손으로 측량한 데서 붙여졌다고 한다. 조선시대에 학조(學祖)가 주지로 있었고, 유정(惟政)이 여기서 승려가 되었다.
경내에는 석조약사여래좌상(보물 319), 대웅전 앞 3층석탑(보물 606), 비로전 앞 3층석탑(보물 607), 대웅전 삼존불 탱화 3폭(보물 670), 청풍료(淸風寮) 앞 3층석탑(보물 1186) 등의 문화재가 있다.
[네이버 백과사전 발췌]
가을에 보는 여름 직지사
벌써 4개월이라는 시간이 흘렀다. 지난 여름, 1년에 딱한번 밖에 없는 휴가의 마지막날 속절없이 흘러간 휴가의 시간이 아쉬워, 올해 마지막 장거리(?) 여행을 계획해본다. 아내와 아이들에게 같이 가자고 말해보지만, 당연하듯 너무 더워서 딱 잘라 거절한다.
아쉬워 하는 모습을 보여줬지만, 마음한구석에는 차라리 잘됬다.ㅋ 또 이렇게 혼자 마음껏 사진찍으며, 구경하며 혼자만의 생각에 잠겨 사색할 수 있는 좋은 기회지만, 요즘은 혼자 움직이는게 크게 좋아하지는 않는다.ㅎ
직지사는 초행길이 아니다. 10여년전 회사동료와 함께 한번 찾은적이 있는 곳이여서, 이번에는 살짝 고민했지만, 꽤 많은 시간이 흐른터여서 크게 고민하지 않고 바로 카메라한대 둘러매고 김천으로 가는 열차에 몸을 실었다.
김천역에서 시내버스를 타고 종점에 하차하여, 직지사로 올라가는 길옆으로는 직지문화공원이라는 정말 멋지게 만들어진 공원, 직지사 주변의 난개발 장비와 사찰 보전, 관광자원개발 및 시민 휴식등의 이유로 2004년에 완공된 공원은 김천시가 지향하는 도시경관의 단면을 볼 수 있을 정도이다.
동국제일가람황악산문(東國第一伽藍黃嶽山直指寺門)이라는 현판을 가지고 있는 직지사 입구, 설마 이 현판을 "문산악황람가일제국동"이라고 읽는 사람들은 없겠지? 보통의 경우 산이름과 함께 사찰의 이름도 같이 들어가는게 대부분인데, 직지사 매표소는 산의 문이라는 조금은 특이한 글이 새겨있다.
입장료는 어른 2500원, 청소년 1800원, 어린이 800원으로 입장료를 받고 있지만, 들어가보면 입장료가 아깝지 않을 것이다.
예전에도 이길을 걸을 때의 느낌과 같은 느낌을 이번에도 어김없이 받았다. 꼭 환상을 걷는 듯한 느낌(?), 꿈을 꾸는 듯한 느낌(?), 뭐라 형용할 수 없는 느낌이 드는 그런 길이다. 무더운 여름의 한복판에서 정말 시원함을 느낄 수 있는 곳이다.
길가 쌓여져 있는 조그마한 돌탑하나하나에는 중생의 소망과 기원, 염원이 담겨있으리라..
직지사는 입구에서부터 대웅전까지 올라가는 길에 많은 문들이 있다. 입구에서 몽환적인 길을 기나서 사찰의 입구를 알리는 일주문, 대양문, 금강문, 사천왕문을 지나야만 대웅전으로 갈수 있다.
4개월전 내가 찾았을 때는 일주문은 보수공사중이였지만, 지금은 어떤지 모르겠다. 문을 통과하기 싫어시다면, 옆으로 나와 있는 노지를 따라 올라가면 된다.
선조 35년(1602년) 중창, 영조 11년(1735년) 중건되어 지금까지 보전되어 내려오고 있는 직지사 대웅전은 보물 제1576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그 새월이 한눈에 느껴진다. 화려하지도, 거대해 보이지도 않지만, 결코 그렇게 보이지 않는다.
직지사 대웅전(大雄殿)
신라시대 대웅전의 규모에 대해서는 미상이나 고려 이후 조선 초기,적어도 정종대까지는 2층 5간의 특수한 건물이었던것으로 추정된다.
그것은 사적기에 대웅대 광명전이라 하였는데 명칭부터 특이하여 혹시 당시에는 석가모니불과 비로자나불을 동시에 봉안했는지 알 수 없다.
대웅전은 임진왜란때 소실되었으나 선조 35년(1602) 사승 인수,명례 등에 의하여 중창되었다. 현 건물은 이로부터 150여 년 후인 영조 11년(1735) 중건되었으며 당시 중건에는 주지 수변화상,전 주지 설운 종익 그리고 태감화상을 비롯하여 산중 대중의 협력과 시주로써 이룩 되었다. 그 관계자는 상대목 동래 운수사의 치백과 도목수 설인을 비롯하여 목수 20여 명과 야장,개와공,도감,그리고 화사,총찰도감,도와도감등 50여 명의 산중대중과 900여 명의 시주가 참가하고 있는데,이 명단은 중창 상량문을 통해 알 수 있다.
이들은 주지 녹원 화상에 의하여 연목 교체 및 기와를 번와(1969.3.1~1970.11.30) 할 때 확인 되었다. 그 후에도 계속해서 대웅전의 주위 석축 및 축대를 새로 조성(1973.4.10~1975.6.20)하여 필역 하였다. 다시 녹원 화상에 의하여 재차 연목 및 기와가 번와(1979.10.25~1980.1.14)되었고, 1980년 8월에는 부분적으로 고색금단청을 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직지사 대웅전은 경북유형문화재 제 215호였는데, 2008년 9월 3일 보물 제1576호로 지정되었다.
[출처 : 김천 직지사 (http://www.jikjisa.or.kr)]
대웅전 내에는 중앙에 석가모니불, 좌우에는 약사여래와 아미타불이 있으며, 후불탱화인 영산회상도(靈山會上圖),약사 불회도(藥師佛會圖),아미타불회도(阿彌陀會圖) 3점은 모두 보물 670호로 지정되었다. 1
직지사 대웅전은 그 자체가 보물이고 문화재인 것이다.
오랜세월로 채색된 벽은 이미 그 빛을 많이 잃었고, 상단 탱화는 세월을 이기지 못하고 많이 소실된 모습이 보인다.
조금은 아쉽다. 장구한 역사의 문화유산이라도, 적절한 시기에 적절하게 유지하고 보수해 주어야지만, 잘 보존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물론 이곳 직지사는 이미 몇몇군데 보수공사가 진행중에 있지만, 아직 대웅전 보수공사가 이루어지지 않는 모양이다.
대웅전 앞에는 보물 제606호로 지정되어 있는 3층석탑이 있다. 통일신라시대에 화강석으로 만들어진 석탑의 원래위치는 경북 문경시 삼북면에 있는 도천사 절터에 방치되어 있는 것을 1974년 이곳 직지사로 이전하여 복원하였다고 한다.
가정의 안녕을 기원하는 것일까? 외지에 나가살고 있는 자식들의 건강과 행복을 기원하는 것일까? 두손을 모으고 탑돌이는 하는 아주머니의 모습에 간절함이 묻어난다.
대웅전 한컨에 자리잡고 있는 보살님 앞에는 "실천하는 나눔이 보살행입니다." 글귀가 보인다. 그런데 기부는 아니하고, 배와 손만 만지고 가는 것 같다.^^
배하고 손만 반질반질..^^
녹음속에 파 뭍여있는 직지사는 뭇 사찰의 모습과는 사뭇다른 느낌의 아름다움을 담고 있다. 고요한 산책길에서 만난 멋진 산사와 같은 느낌이 들 정도로 정감이간다.
대구 동화사, 양산 통도사와 같은 대형사찰에서는 잘 느낄 수 없는 아름다움이 있다.
대웅전에서 좌측으로 들어가면, 화원같은 또다른 느낌의 공간이 보인다. 직지사 비로전(毘盧殿)은 천불상을 모시고 있으므로 천불전이라고도 한다. 임란때 병화를 모면한 3동의 건물중 하나로 근년에 개수하였다고 한다.
비로전 앞에도 대웅전과 동일한 석탑이 서있는데, 이 석탑 역시 보물 제607호로 지정되어 있다.
직지사의 여름은 난장같은 여름이 아닌, 정말 조용하고 사색하며, 무상무념의 시간을 가질 수 있도록 배려하는 듯한 느낌의 사찰이다. 위에 아기동자 인형처럼, 햇살 좋은 빛을 맞으며 기분좋게 쉬고 있는 기분이 든다.
직지사 많은 전각중에서 거의 정중앙에 위치하고 있는 성보박물관이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는 청풍료 옆에 전시되고 있는 범종과 목고, 1996년에 개관하고 경북 북부 지역등지의 여러 사찰에서 전해오는 불교문화재를 보관, 전시, 연구하는 볼교전문 박물관이다. 박물관 안과 밖에서 수많은 불교 유물들을 오감을 통해 느낄 수 있다.
현재 성보박물관에는 도리사 금동육각사리함(국보 제208호), 김룡사 사인비구주조 동종(보물 제11-2호), 직지사석조약사여래좌상(보물 제 319호), 한천사 출토 금동자물쇠와 청동반자(보물 제1141호), 예념미타도량참법(보물 제1241호), 백지금니금강보문발원합부 사경(보물 제1303호), 묘법연화경(보물 제1306호), 석조나한좌상(경상북도유형문화재 제216호)등의 지정문화재를 포함한 5000 여점의 유물을 소장하고 있다.
[직지사 성보박물관 발췌]
관람안내
매표시간 : 오전 9시 ~ 오후 5시 (동계 오후 4시 30분)
관란시간 : 오전 9시 ~ 오후 5시 30분 (동계 오후 5시)
요 금 : 일반 - 1,000원, 청소년 - 500원 (단체 할인됨)
돌아 나오는 길. 언제나 이렇게 고찰을 찾을 때면 항상 비슷한 느낌의 담과 담위에 쌓아 놓은 기와의 모습은 오랜 새월 중생들과 함께 고락을 같을 했을 것이다. 가장 먼저 반갑게 만나고, 가장 마지막에 조심해서 돌아가라고 배웅하지만, 누구하나 눈길 제대로 주지 않는다.
개인적인 종교관과는 다른 곳으로의 여행, 어떤이는 너는 네 종교도 아닌데 왜 그렇게 자주 가는냐? 라는 질문을 자주 받는다. 이건 개인적인 종교관과는 별개이다. 우리나라의 고대 역사와 고미술의 아름다움, 그리고 우리의 것을 찾아보고자 하는 마음 때문이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것은 솔직히 한적한 산사를 찾으면 마음이 편해진다. 약한 바람에 흔들리는 풍경소리가 귓가에 와서 속삭이고, 조용하게 퍼지는 불결소리와 목탁소리를 들어면, 심란하고 불편한 마음이 사그라지는 느낌이 좋다.
이곳 직지사로의 짦은 여행은 비록 사진을 찍고 여기 여행기행란에 포스팅하는 것이 목적이지만, 현대의 빠르게 돌아가는 세상과 살짝 등을 돌려, 조용하게 발걸음 한걸음 한걸음 옯겨가며, 지금까지 무심히 지나쳤던 나를 찾을 수 있는 좋은 시간이였다. 그래서 필자는 이런곳을 좋아한다. 한템포 한박자 살짝 천천히 살아가고 싶다. 누군가의 말을 빌리자면 100년도 못사는 인생 그렇게 아둥바둥 사노, 세상 천천히 재미있게 즐기면서 살아" 말처럼 살고 싶다.
두번째 찾은 직지사의 느낌은 평생 뇌리에 기억될 것 같다.
■ 찾아가는 길
대중교통 이용시
- 철도 이용 -> 김천역 하차 -> 앞에서 11번, 111번 시내버스(05:40-21:30, 10분 간격 운행, 25분 소요) -> 종점 하차 -> 도보 약 15분 -> 직지사 도착
- 버스 이용 -> 버스터미널 -> 앞에서 11번, 111번 시내버스(05:40-21:30, 10분 간격 운행, 25~30분 소요) -> 종점 하차 -> 도보 약 15분 -> 직지사 도착
자가차량 이용시
- 경부고속도로 김천나들목 -> 4번국도 영동방향 (약7~8Km) -> 남선교 우회전 (약3Km) -> 직지사 상업지구 공용주차장 -> 도보 약 15분 -> 직지사 도착
(대전,서울에서는 추풍령나들목에서 김천방면으로 약8Km)
■ 지역 먹거리 정보
직지사에 올라가기전 버스종점과 주차시설이 있는 곳이 직지사 상업공간이다. 직지사를 갔다와서 즐비해 있는 식당가에서 좋은 사람들과 맛난 식사를 즐기시면 될 듯하다.
필자는 혼자 식당에 들어가 먹기가 그래서, 주차장옆에 있는 조그마한 분식집에서 라면과 소주한잔.ㅋㅋㅋ 더운날 미친짓 했다.
■ 지도 정보
- 부처님 뒤에 걸려있는 그림이라는 뜻입니다. [본문으로]